spring

회원 도메인 레포지토리 만들기

PGI 2024. 9. 19. 02:15
반응형

01. 테스트 케이스 작성

테스트코드는 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src/test/java 하위폴더에 생성한다.

package hi.hi_spring.repository;

import hi.hi_spring.domain.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class MemoryMemberRepositoryTest {
    MemotyMemberRepository repository = new MemotyMemberRepository();

    // 테스트 끝날때마다 초기화
    @AfterEach
    public void afterEach(){
        repository.clearStore();
    }
    @Test
    public void save(){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
        repository.save(member);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Assertions.assertEquals(member, result);
    }

    @Test
    public void findByName(){
        Member memberName = new Member();
        memberName.setName("spring11");
        repository.save(memberName);

        Member memberName2 = new Member();
        memberName2.setName("spring12");
        repository.save(memberName2);

        Member res = repository.findByName("spring11").get();
        assertThat(res).isEqualTo(memberName);
    }


}

 

02. 서비스로직 개발

package hi.hi_spring.service;

import hi.hi_spring.domain.Member;
import hi.hi_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hi.hi_spring.repository.MemotyMemberRepository;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tyMemberRepository();

    /**
     * 회원가입
     */
    public Long join(Member member){
        // 중복 회원 x
        // Optional 값 존재 여부 확인.
        // 방법 1
//        Optional<Member> res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        res.ifPresent(m ->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 방법 2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Present(m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
}

 

대충 설명은 적어 놧는데 여기서 더 코드재사용을 위해서 윈도우 기준 컨트롤 + 알트 + m을 방법2라고 적어 놓은거를 드래그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변경이 된다.

이렇게 쓰는이유는 재사용성 및 유지보수에 좋다고 한다... 근데 아직도 스프링이 좋은 이유를 모르겟네....

// 방법 2
        vail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turn member.getId();
    }

    private void vaildateDuplicateMember(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Name(member.getName())
                .ifPresent(m ->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
                });
    }

03. 서비스로직 테스트

test용 코드를 직접 짤수는 있지만 귀찮은 관계로 껍데기만이라도 만들고 싶다 라고 하면 컨트롤 + 쉬프트 + t 를 누르고 체크를 다한다음에 확인을 누르면 알아서 파일이 만들어진다.

package hi.hi_spring.servic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class MemberServiceTest {

    @Test
    void join() {
    }

    @Test
    void findMembers() {
    }

    @Test
    void findOne() {
    }
}

 

이런식으로 

 

04. 스프링 빈 등록 

스프링 빈... 이게 뭐냐 리액트의 컴포넌트라고 생각을 하면 될꺼 같다.

다만 빈은 서버사이드에서 컴포넌트는 클라이언트사이드에서 사용하는게 다른점이라고 생각이들고 또 다른점은 비지니스 로직에 관점을 두냐 아니면 ui에 관점을 두냐의 차이정도?

일단 만드는법 을 보자면 다음과 같다.

service 폴더와 같은 레벨에서 SpringConfig

package hi.hi_spring;

import hi.hi_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hi.hi_spring.repository.MemotyMemberRepository;
import hi.hi_spring.service.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tyMemberRepository();
    }
}

 

이런식으로 의존성을 하면 된다는데 먼소린지는 아직 모르겟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