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1. 자료와 정보
자료를 컴퓨터에 넣고 처리를 하면 정보가 나온다.
p = 자료, D = 컴퓨터, I = 정보 P(D) => I
자료의 정의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이나 사실.
- 우리 생활에서 실제로 만질수 잇거나 볼수 있는것에 대해서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하여 얻을수 잇는 내용
정보의 정의
- 어떤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으로써 자료의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내용.
- 어떤 상황에 적절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될수 잇는 형태로 가공되거나 분류되기 위해 '처리 과정'을 거쳐 정리되고 정돈된 '2차 처리 결과물'
- 결론은 그냥 처리하고 나온 2차 처리 결과물이 정보임.
02. 추상화의 개념
- 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해서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
추상화
- 자료의 추상화 : 물리적이며 전기적인 동작과는 무관하게 자료를 생각하고 바라보는 사람의 상상
- 즉 컴퓨터의 언어 010101 이 무엇인지 의심 없이 단순하게 개발자의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는 것 처럼 개념화 하여 개발자들사이의 의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 결국 공통적인 특징을 뽑는거지...
0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 추상화를 통해 알고리즘에서 사용할 자료의 논리적 관계를 구조화한 것
- 자료의 추상화와 구조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면 소프트웨어는 비효율적으로 수행도거나 소프트웨어의 확장성에 문제가 생길수 있음.
즉 자료를 추상화 한게 자료구조이다. 쉽죠?
알고리즘?
- 자료구조가 사람이 대상을 추상화 하는것이라고 하면 알고리즘은 컴퓨터가 컴퓨터가 수행해야할 명령의 추상화.
- 즉 컴퓨터야 일해 노예야를 시키기 위해 추상화된 명령어 덩어리 라고 생각하면된다.
알고리즘의 성능
-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예측 실행시간을 추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
- 실행시간의 예측
- 알고리즘의 실행 횟수를 0(n)이라고 표현
- 같은 0(n)을 가진다고 해서 가튼 실행시간을 갖는 것이 아니라 실행시간의 유사한 증가경향에 대한 표현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