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구조
01. 큐의 의미큐는 스택과 마찬가지로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일종의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자료를 보다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ADT (추상 데이터 타입)이다. 큐 (Queue)의 사전적 정의는 '대기열'인데, 선착순으로 줄 서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매우 쉽다. 버스 정류장에서 일렬로 줄을 선다면, 맨 앞에 있는 사람이 가장 먼저 버스에 탑승할 것이다. 이처럼 큐는 가장 먼저 들어온 요소가 가장 먼저 나가기 때문에 First In First Out (FIFO, 선입선출)이라고 불린다.02. 큐의 특징한쪽에서는 삽입연산(맨뒤)만 발생가능 하고, 다른 쪽에서는 삭제연산(맨앞)만 발생 가능한 양쪽이 모두 터진관한쪽에서는 삽입연산 : 서비스를 받기위한 기다림(뒤에서 부터 기다리죠)한쪽에서는 삭제..
자료구조 02
·
자료구조
01. 트리??데이터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선형 자료구조노드라고 불리는 부분과 노드는 연결하는 가지로 구분됨노드 사이에는 계층적인관계를 갖음노드 종류잎노드 - props를 내리지 않는 컴포넌트내부노드 - 잎로드 루트노드(root) 이외의 컴포넌트트리의 깊이 높이 : 루트로부터의 가장 긴 경로에 있는 단말 노드의 레벨에 1을 더한것.
배열
·
자료구조
01. 배열의 정의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려놓는것 그냥 순서대로....메모리의 위치를 순서적으로 결정하는 특징중요한거는 원소값의 물리적 순서....딕셔너리는 value와 key로 구성이 되지만 배열은 그저 인덱스값으로 순서를 정한다.02. 배열의 추상 자료추상자료형객체 및 관련된 연산의 정의로 구성자료구조 구현전의 설계단계자료형메모리 저장 할당을 위한 변수선언자료구조의 구현 단계 근데 먼소리임??03. 배열 연산의 구현배열의 생성작업을 보면 a의 n번째의 작업물까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단 a~~방과 그안의 데이터를 0이라는걸 넣는 개념.... null을 넣지 왜....배열값의 검색(retireve)자 이번에는 배열값으로 검색하는건데 사용자가 몇번째꺼 꺼내줘 하고 n이라는 값..
자료구조
·
자료구조
01. 자료와 정보자료를 컴퓨터에 넣고 처리를 하면 정보가 나온다.p = 자료, D = 컴퓨터, I = 정보 P(D) => I 자료의 정의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이나 사실.우리 생활에서 실제로 만질수 잇거나 볼수 있는것에 대해서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하여 얻을수 잇는 내용정보의 정의어떤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으로써 자료의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내용.어떤 상황에 적절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될수 잇는 형태로 가공되거나 분류되기 위해 '처리 과정'을 거쳐 정리되고 정돈된 '2차 처리 결과물'결론은 그냥 처리하고 나온 2차 처리 결과물이 정보임.02. 추상화의 개념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해서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추상화..
PGI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