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번주 개발총평이 되시겟다.. 휴...
주제는 api(ajax)와 이번주 항해에 대한 코멘트?
이번주 항해에서 배운건 크게 간단한 기본 코딩(HTML, CSS), API를 가져와서 AJAX를 사용하는법(따릉이와 기상청), 크롤링 방법, 서버 연결 총 4가지항목이 될거같다.
일단 기본코딩같은경우는 회사에 다닐때 (2년 반)열심히 햇기에 그리 많이 본 내용은 없엇고 중점적으로 본거는 아무레도 API와 크롤링 정도 일거 같다. 한 파트당 최소 5번정도는 영상을 본거 같은데 어떤식으로 개발을 진행해야하는지 에대해 많은 공부를 할수 있었던거 같다. API는 post로 데이터를 받아오고 get으로 보여지게 하는거까지가 이해한 내용...
솔직히 아직까지는 초반 단계라서 더 공부는 해야겠지만서도... 공부한거에 70%정도는 이해 햇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말해 본다. 솔직히 이러면 절대 안되는데 입학시험이 떨려서 이번주 내내 입학시험에 정신이 팔려서 코딩을 어떻게 하는건지를 외우는데 집중햇지 정작 사용하고 잇는 api나 ajax에 대해서는 뭔지 모르겟다는게 학계의 정설....인거 같다.
그레서 리뷰하는 김에 찾아 보앗다 api가 뭔지!! 그림으로 보는 api설명글 너무 잘올라와잇어서 놀랏다.
그림으로 본 "API는 손님(프로그램)이 주문할 수 있게 메뉴(명령 목록)를 정리하고, 주문(명령)을 받으면 요리사(응용프로그램)와 상호작용하여 요청된 메뉴(명령에 대한 값)를 전달합니다.
쉽게 말해, API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API를 사용하기 위해 쓰는것 중 하나가 ajax 라는 것...
또 포스트 하는 와중 궁금한게 생겻다.. 대기업들은 왜 힘들게 만든 api를 굳이 오픈을 할까 라는 것..
찾아보니 내용은 이거...
API를 이용하는 것은 내부 개발자의 리소스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제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기존 기능을 강화하고, 새로운 능력을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가 높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편 로그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이탈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대형 플랫폼들은 간편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유 경제 시대가 흐르면서 정보를 독점하는것보다 공유함으로써 잠재 고객 및 기존 고객으로부터 더 많은 수익을 창출 할수 있습니다.
이걸 보고 자사의 API를 제공함으로써 잠재 고객 및 기존 고객들에게 자사의 브랜드(기술)을 자연스럽게 어필하면서 충성고객을 확보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였다는거? 이미지도 챙기고 돈도 챙기기 위해서 일까 라는 결론이 나왓다.
고로 충성 고객이든 뭐든 더많은 오픈 API가 나와서 개발 공부할때 조금이라도 쉽게 할수 잇었으면 좋겟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무리 총평을 하자면 공부하면서 아쉬웟던점 이 생각나는데 API든 뭐든 사용하는 방법은 배웟는데 오픈 API를 어떤식으로 가져오는지에 대한 공부는 없어서 약간은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서버는 아직 어렵다 정도...? 좀더 공부하다보면 조금은 늘겟지... 라는 생각으로 이번주 개발일지 끝....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18 개발일지 (0) | 2023.01.19 |
---|---|
23.01.17 개발일지 (0) | 2023.01.19 |
23.01.14 개발일지 (0) | 2023.01.14 |
23.01.13 개발일지 (0) | 2023.01.14 |
23.01.12 개발일지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