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렇게 규약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약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 HTTP 특징
- HTTP 메시지는 HTTP 서버와 HTTP 클라이언트에 의해 해석이 된다.
- TCP/ I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컴퓨터와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통신망을 통해 원하는 정보(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 -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Cookie와 Session이 등장하였다.) - HTTP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요청/응답 방식으로 동작한다.
# Request (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연락하는 것을 요청이라고 하며 요청을 보낼때는 요청에 대한 정보를 담아 서버로 보낸다.
# Request Method (요청의 종류)
- GET : 자료를 요청할 때 사용
- POST : 자료의 생성을 요청할 때 사용
- PUT : 자료의 수정을 요청할 때 사용
- DELETE : 자료의 삭제를 요청할 때 사용
#Response (응답)
서버가 요청에 대한 답변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것을 응답이라고 한다.
#콜백함수
콜백은 간단히 말하면 함수 안에서 실행하는 또 다른 함수 이다.
또 다른 함수를 만들 때 인풋(parameters)을 함수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인자로 사용되는 함수를 말한다.
즉, 파라미터로 변수가 아닌 함수를 전달하는 것을 말하며, 또한 함수이름 없이 익명으로도 전달 가능한 함수를 일컫는다.
#이번주 후기.......
코테를 코테를 위한 코테의 의한 주엿다고 확신한다.
코테를 위해 for문을 공부 햇고 코테를 위해 if문을 공부햇다랄까.. 그거 덕에 공부가 진심 잘됬다고 생각이 든다.
솔직히 아직까지도 많이 안다고는 생각은 안드는데 이 2개정도는 90%정도는 이해 했다고 생각이 든다.
다른분들한테도 나름 성장한거 같다고 들어서 나름 뿌듯한 한주엿다고 생각이 든다.
그레도 다른분들에 비해 한참 남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편 슬프기도 하다.
같이 시작하신분들은 달리기를 하고 있는데 나만 걷고 잇는 느낌... 그리고 공부를 하면 할수록 까먹는것도 많은게 내가 기억을 할수 잇는범위가 한계가 있다라는 생각도 약간 든다. 앞으로 갈수록 뒤가 사라지는 느낌... 더 공부를 하라는 하늘의 계시가 아닐까?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17 (0) | 2023.02.18 |
---|---|
23.02.12 (0) | 2023.02.12 |
230125 개발일지 (1) | 2023.01.26 |
23.01.18 개발일지 (0) | 2023.01.19 |
23.01.17 개발일지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