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있다.
HTTP 요청 구조
- 요청 라인: 원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HTTP 메소드(예: GET, POST, PUT, DELETE), 요청된 리소스의 대상 URL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HTTP 버전을 포함합니다.
- 헤더: 사용자 에이전트(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유형, 언어 기본 설정 등과 같은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 메시지 본문(선택 사항): 양식 입력 또는 파일 업로드와 같은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HTTP 응답 구조
- 상태 줄: 여기에는 HTTP 버전, 요청 결과를 나타내는 숫자 상태 코드(예: 성공적인 요청의 경우 200 OK) 및 텍스트 상태 메시지가 포함됩니다.
- 헤더: 요청 헤더와 마찬가지로 응답 헤더는 콘텐츠 유형, 캐시 제어 지시문, 쿠키 등을 포함하여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메시지 본문: HTML 콘텐츠, 이미지 또는 JSON 데이터와 같이 클라이언트로 다시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Position 사용방법
static : HTML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방식
relative : static이 기본값이라고 하면 그 기본값을 자신으로 맞추는
absolute : 뷰포트 기준으로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 기준은 부모요소
fixed : 뷰포트 기준으로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 더 정확히는 부모요소가 absolute 일때는 그거 기준으로 위치가 설정됨.
반응형
'모르는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s / 브라우저 저장소 (0) | 2023.05.18 |
---|---|
li와 ul 그리고 시멘틱태그 (0) | 2023.05.18 |
캐시의 장단점 (1) | 2023.05.10 |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0) | 2023.05.10 |
Parameter와 Argument (0) | 2023.05.09 |